정서교육의 의미
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교과 교육과정 이외에 학생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인들이 있다. 학교의 전통, 학급의 분위기, 교사의 열정, 교사- 학생의 상호작용과 관계, 신뢰 구축, 자신감, 학급 규칙, 교실의 물리·정서적 환경 등을 통해 학생이 나중에 학습경험이 발생했음을 알게 되는 잠재적 교육과정은 학생의 사회화에 있어서 중요한 영역이다. 특히 교사와 학생의 유대와 신뢰 관계를 통해 형성된 정서적 안정은 교수학습뿐만 아니라 학생의 행동, 가치 및 태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다.초-연결 사회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교사는 학생이 자신의 정서를 적절히 조절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또한 정서교육은 교사에게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 이유는 교사 역시 친절을 강요받는 감정근로자 (실제 감정과는 무관하게 직무를 수행해야 하는 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로 보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정서교육 혹은 정서계발 교육과정과 수업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필요하다.
정서교육의 필요성
정서교육은 학생의 도덕·인성적 성품을 함양하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이바지한다. 자신과 타인의 마음, 감정, 느낌을 인식하고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면서 타인의 정서에 공감하는 능력은 인성교육뿐만 아니라 민주시민 교육의 기본적인 토대이자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교육과정과 수업 측면에서 정서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인간 발달의 인지적 측면, 행동의 동기유발 측면, 신체적 측면에서 고찰해 볼 수 있다. 인지적 측면에서 보면, 정서는 학생의 학습과 인지발달 과정에 중요한 기여한다. 특히 긍정적 정서 상태는 학습효과를 증진하고 교수학습 분위기와 학업성취 결과에도 기여한다. 행동의 동기유발 측면에서 정서는 사회적 참조와 감정이입을 통해서 학생의 행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아울러 즐겁게 공부하고 학급 활동에 참여하게 한다. 신체적 측면에서 정서는 신체 건강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정명화 외, 2005: 285). 따라서 정서교육과 계발은 학생의 자아와 성격 형성 (Epstein, 1993, 정명화 외, 2005: 287에서 재인용)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에 중요하며 궁극적으로는 인성 및 시민교육의 목적과 맞닿아 있다. 특히 학생의 행동을 인지적 측면에서 접근하려는 학자들도 인지보다 정서가 학생의 행동에 더 큰 영향을 준다고 주장한다(Zajonc, 1998; 김대석 외, 2021).
정서교육의 목표
정서교육의 목표는 첫째, 정서의 순화와 조절을 통해 인격을 교육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건강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둘째, 정서는 인지능력의 효율성을 증진하기 때문에 합리적 의사결정, 창의적이며 통합적인 사고, 동기부여 등에 도움을 준다. 전자는 정서교육의 목적(직접)적 목표에, 후자는 정서교육의 수단(간접)적 목표에 해당한다.